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부모 자식 간 증여 시 면제 한도는 얼마일까요? 세금 폭탄 피하는 전략을 정리했습니다. 빠르게 증여세 면제 한도를 원하시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증여세란 무엇인가?
증여세(Gift Tax)는 타인에게 무상으로 재산을 이전받을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증여세가 수증자(재산을 받는 사람)에게 부과되며, 일정 금액 이상을 받는 경우 신고 및 납부 의무가 생깁니다.
부모 자식 간 증여세 면제 한도 (2025년 기준)
부모가 자녀에게 증여할 때, 일정 금액까지는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구분 | 면제 한도 |
---|---|
부모 → 자녀 (미성년자) | 2,000만 원 |
부모 → 자녀 (성인) | 5,000만 원 |
예를 들어 성인 자녀에게 5,000만 원을 증여했다면 증여세가 발생하지 않지만, 5,001만 원 이상부터는 초과 금액에 대해 세금이 부과됩니다.
증여세율은 얼마나 되나요?
초과된 금액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증여 금액 | 세율 | 누진공제액 |
---|---|---|
1억 이하 | 10% | 0원 |
1억~5억 | 20% | 1,000만 원 |
5억~10억 | 30% | 6,000만 원 |
10억~30억 | 40% | 1억 6,000만 원 |
30억 초과 | 50% | 4억 6,000만 원 |
예를 들어 1억 5천만 원을 증여받았다면, 초과분 1억 원에 대해 20% 세율과 1,000만 원 누진공제가 적용됩니다.
증여세 신고 방법
증여를 받은 달의 말일 기준으로 3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는 홈택스에서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미신고 시에는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신고기한: 증여일이 속한 달의 말일 + 3개월
- 신고방법: 홈택스 또는 세무서 방문
절세 전략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활용하면 증여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여러 해에 나눠서 증여 (예: 5년 간격으로)
- 미성년자와 성인 기준 차이 활용
- 배우자 공제도 함께 고려
- 자녀 명의 금융계좌 미리 관리
마무리
부모 자식 간 재산 이전은 단순한 '가족 간 나눔'이 아니라, 세법상 철저한 관리와 전략이 필요한 과정입니다. 무심코 증여했다가 세금 폭탄을 맞는 일 없도록, 면제 한도와 세율을 정확히 파악하고 계획적으로 진행하셔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