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이나 이자율과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지출을 독립지출이라고 한다. 독립투자 등이 독립지출에 속한다. 케인스 단순 모형에서 독립지출이 증가하면 국민소득은 단지 독립지출의 증가분만큼만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 몇 분수로 증가하게 되는데 승수효과라고 한다. 승수=균형 국민소득증가분/최초의 총수요증가분으로 정의한다. 한계소비성향이나 한계저축성향이나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수이기 때문에 투자승수의 값은 1보다 크다. 즉 투자수요가 증가하면 투자수요의 증가분 이상으로 균형 소득이 증가한다. 한계소비성향이 클수록 투자승수는 크게 되고, 한계소비성향이 작을수록 투자승수는 작게 된다. 승수와 한계소비성향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간단한 예를 들어보자. 사회 구성원들의 한계소비성향이 0.8이라 하자 A라는 사람..
1. 케인스 이론의 등장 배경 대공황의 늪에 빠진 1930년대 세계 경제는 극심한 실업으로 허덕이고 있었다. 당시 대표적인 공업국인 미국의 경우 1929년에 약 3%이었던 실업률이 1933년에는 무려 26%에 육박하였으며, 그 이후 1940년까지 줄곧 10% 이상의 높은 실업률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영국 비슷하였다. 기존의 고전학파이론에 의하면 노동시장은 자율적으로 균형에 도달하여 항상 완전고용을 달성하며, 실업이 있다면 현행임금 수준에서 노동보다는 여가를 택한 '자발적인 '실업률일 뿐이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심각한 실업문제를 제대로 설명하지도 못하고 효과적인 실업 대책을 제시할 수도 없었다. 이와 같은 고전학파이론의 맹점을 비판하면서 대공황의 타개라는 실천적인 목표 의식을 가지고 등장한 것이 케..